시장을 분석하여 데이터 분석 사이트를 만들다 2편 - 웹 구현 과정
2016.10.12. 14:18

시장을 분석하여 데이터 분석 사이트를 만들다 2편 - 웹 구현 과정

2016.10.12. 14:18

URL 복사 http://windy7812.blog.me/220834345000

1편 웹기획 과정에서는 무엇을 만들지 대상과 목적을 확정짓고 구체적인 설계도인 기획서를 제작하였습니다. 
웹사이트 제작과정에서 필수적인 요구분석 및 설계 단계에서 도출한 기능정의서와 스토리보드를 바탕으로 개발과 디자인에 들어갑니다. 


웹사이트(어드민) 디자인 / 프론트 퍼블리싱

설계도안인 스토리보드를 바탕으로 이미지 작업툴인 포토샵으로 레이아웃을 만들고 색깔을 입혀 웹디자인을 완성합니다.
디자인한 것을 바탕으로 웹 퍼블리싱에 들어갑니다. 
어드민 사이트는 새롭게 디자인하기 보다는 기능에 촛점을 맞추기 때문에 기존 작업물을 리뉴얼 하는 수준에서  디자인합니다.


웹 프론트
웹 사이트 퍼블리싱

구현

앞에 기획서를 바탕으로 API를 개발합니다.
목록부분은 JSTL을 이용해서 구현하고 데이터를 수집요청하는 부분은 ajax로 구현하였습니다.
먼저 해야할 일은 데이터를 수집해야합니다.
Jsoup 라이브러리를 선택하고 HTML을 파싱하여 네이버 카페와 블로그 그리고 플레이 스토어를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단어를 추출합니다.
목록상의 블로그 특정글을 선택하면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 20개를 추출합니다.
단어 중에 하나의 단어를 선택하면 해당 키워드로 네이버 블로그 페이지의 순위를 찾아줍니다.



완성된 기능을 구현 및 테스트

데이터 분석 사이트의 디자인 및 개발 구현단계가 끝이 나면 제대로 개발이 완료됐는지 테스트 작업을 하고 필요하면 기능 간 성능극대화 작업을 합니다.



설계한대로 앱개발이 제대로 완료됐는지 테스트 겸 데이터 분석 기능을 확인해보겠습니다.


| 1. 메뉴선택 - 어떤 마켓의 데이터를 분석할 지 메뉴를 선택합니다.
카페, 스토어Data Mining 카페와 구글플레이스토어의 데이터를 분석하려면 '카페, 스토어Data Mining' 메뉴를 선택합니다. 
블로그Data Mining : 블로그의 데이터를 분석하려면 '블로그Data Mining'메뉴를 선택합니다.


| 2. 블로그 Data Mining를 선택한다.
테스트에서는 블로그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블로그Data Mining을 선택하였습니다. 
저희 회사 흐름 블로그에서 작성한 최신글을 20개까지 목록으로 보여줍니다.  





| 게시글의 데이터를 분석한다.
목록의 글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글의 데이터를 분석한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해당 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키워드를 20개까지 추출하여 보여줍니다.
 
상단에는 원모양의 이미지로 키워드를 보여주어 정보들을 빠르게 파악하도록 하였습니다. 
하단에는  표로 키워드를 보여주어 순위와 빈도수까지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키워드가 그 글에서 몇 번째로 많이 사용한 키워드인지, 몇 번이나 중복하여 사용하였는 지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작성한 글에서 키워드 순위를 확인하다
'요구분석'이라는 키워드를 내가 작성한 블로그에서 순위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2016년 7월에 작성한 '요구분석 - 성공적인 앱개발을 위한 첫걸음'이란 글이고
여기서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내용, 파워, 대상... 순이고 요구분석의 빈도수는 2 개 입니다. 




| 하나의 키워드 상세 분석 
블로그 상세 페이지에서 표의 키워드 클릭하면 해당 키워드를 분석한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테스트에서 '요구분석'이란 키워드를 선택하였습니다. 
'요구분석'으로 블로그 전체를 검색했을 때,
이전에 쓴 글인 '요구분석 - 성공적인 앱개발을 위한 첫걸음이 이란 글이 나옵니다.
자사 흐름의 블로그는 21위에 랭크됩니다. 

또 291위에는 '시장을 분석하여 데이터 분석 사이트를 만들다'라는 글이 나오고 '요구분석'이라는 키워드가 291에 랭크되었다는 뜻입니다.


결과 확인 : 네이버에서 '요구분석' 키워드로 검색

| 결과 확인
데이터 분석을 했을 때, 요구분석 키워드로 검색하면   '요구분석 - 성공적인 앱개발을 위한 첫걸음' 글이 나옵니다.

실제로 네이버에서 '요구분석'이라는 단어를 검색하여 해당 글 순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구분석'으로 포스트를 검색하면 총 602,767건의 글이 검색되며, 그 중 2p에 나의 글 '요구분석 - 성공적인 앱개발을 위한 첫걸음'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

내 블로그의 글을 유저들이 어떤 단어로 검색했는지와 전체 글 중 몇 번째로 노출되는 지를 알수있도록 해줍니다.
인기 키워드와 글을 알고 유입할 수 있도록 전략을 짤 수 있습니다. 
블로그 하나의 글을 쓰면 수 천 개의 키워드로 작성합니다. 그 중 일반 유저들이 선호하는 키워드로
글을 쓴다면 많은 사람들이 포털의 검색로직을 통해 손쉽게 내 글을 접할 수 있습니다.

즉 데이터 분석의 효과는 일반 유저들이 자주 쓰고 선호하는 키워드를 발굴하고 그에 맞게 글을 쓸 수 있는
길잡이와 같은 역할을 제시해 주는 등대와 같습니다.



개발의뢰